MileMoa
Search
×

안녕하세요,

항상 마모를 통해 많은 혜택과 정보를 얻어가는 1인입니다.

 

오늘은 집에서 발생한 전기문제 때문에 글을 적어 보는데.. 

혹시 저와 함께 이 문제에 대해 추측을 해보실 분이 있을까 싶어서요.

 

 

저는 작년에 1950년대 지어진 주택으로 이사와서 사는 중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지하에 항상 켜놓는 제습기가 작동을 멈춰있고, 화면에 에러가 떠있길래..

왜이러지? 하는 찰나.. 

분명히 스위치를 꺼놓은 천장 전등이 순간 깜빡하고 반짝이더라구요..

이상하다 싶어서.. 일단 이쪽에 물려있는 circuit breaker부터 내렸어요.

그리고 차단기를 다시 올리고, 멀티테스터로 제습기 코드를 꼽아놨던 아울렛에 찍어봤더니,

세상에 양쪽 구멍에 모두 120v가 나오네요.

 

원인을 찾고자 아예 깜빡이던 천장 전등을 떼어내니,

그 안쪽에 전선들이 많이 연결되어 있더라구요.

어딘가에서 이곳으로 전기가 들어오는 A라는 선이 있고, 여기에 B선과 C선이 물려있는 구조였습니다.

B와 C는 각각 OUTLET과 LIGHT였구요...

나중을 위해 사진을 찍어놓고, 연결된 모든 선을 분리시키고 테스터를 찍어보니...

 

wire.png

 

 

A선의 hot wire, neutral wire 자체에서 양쪽 모두 120v가 흐르고 있는겁니다....

이런 걸 합선이라고 하는 건가요??
(A선에 ground wire가 없는 것도 문제겠죠..?)

 

이미 여기서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없겠다 싶어서 전기기술자를 불러야겠다는 판단은 내린 상황이구요.

여기저기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북부뉴저지인데.. 혹시 전기기술자 추천해주실 수 있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다만, 여기서부터 제 개인적인 궁금증입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었던 걸까요??

사실 finished된 지하라서 배선들이 다 천장에 가려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 추측뿐입니다만...

분명, 전날까지도 멀쩡하게 작동하던 outlet과 light이었는데 말이죠...

 

A선이 만져보니 상당히 오래되어서, 구리를 감싼 피복이 이미 경화되어 살짝만 건드려도 바스러지는 상태이기는 했습니다만..

벽 내부에 있던 전선들이 어떤 물리적인 힘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HOT과 NEUTRAL이 서로 맞닿아서 서로 전기가 흘러서 이렇게 될 수가 있을까요???

 

또, 이 BREAKER를 내리니까.. 1층에 몇몇 OUTLET들도 함께 전기공급이 끊어졌거든요.

그런데... 이 OUTLET들은 차단기를 올리고 테스트해보면, 정상적으로 HOT WIRE에만 120V가 나오고

NEUTRAL WIRE에는 전압이 찍히지 않아요. 실제로 전자제품을 꽂아보면 잘 작동하거든요...

이건 왜 그러는 걸까요...?

지하와 같은 BREAKER에 물려있어서 HOT WIRE는 공유하지만,

NEUTRAL WIRE는 다른 곳에 연결되었기 때문일까요..?

 

여기 계신 여러 마모님들의 경험이나 혹은 추측 등을 공유해주시면,

전문가가 와서 고치기 전까지, 저의 궁금증을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이유가 도대체 뭘까.... 며칠 째 자려고 침대에 누워서도 이 생각 밖에 안듭니다.....ㅋㅋㅋ

요즘 습한 날씨 때문에, 거의 한 달 내내 쉬지 않고 돌아가는 지하의 제습기 때문에 오래된 전선이 과열이 되었나....?

한 달전, 계단 LIGHT SWITCH(투폴이었음)를 모션센서로 바꾸는 과정에서 배선 연결을 뭘 잘못했었나...?

이런 의문만 꼬리에 꼬리를 무네요.....ㅋㅋㅋ

 

이런 상황이 무료하던 제게 생각할 거리를 던져주어서 마냥 싫지만은 않은 것 같으면서도...

작년에 이 집으로 이사오고, 처음으로 집수리에 전문가를 불러서 큰 돈이 나갈 것을 생각하니,

배가 또 엄청 아프기도 하고 그러네요...

전기기술자는 시간당 얼마씩 charge하는지도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비싸겠죠? ㅠ.ㅠ)

 

18 댓글

JoshuaR

2023-07-25 00:25:19

1. 일단 live wire detector 로는 상황파악에 조금 어려움이 있으니, multimeter 를 이용해서 전기가 어떻게 흐르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어 보이고요..

Hot 과 Neutral 을 함께 찍으면 120V, Neutral 과 Ground 를 함께 찍으면 0V 가 나와야 하는게 상식인거 같습니다. Neutral 과 Ground 를 함께 찍었는데 120V 가 나왔다면 그거는 Neutral 이 아니라 다른 phase 의 Hot 일 가능성이 있어 보이네요.

만약에 내부 어딘가에서 hot 과 neutral 이 합선이 되었다면 차단기가 자동으로 내려가야 정상입니다. 그 상황이면 차단기 올려도 즉시 또 내려갈테고요..

 

2. Ground 는 아마도 저 사진에 보이는 초록색 라인일거 같습니다. Ground 는 여러개가 안들어오고 선 하나만 들어오는 경우가 많을거에요. Ground 연결하는 곳에는 저 초록색 라인을 다 연결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연결하시기 전에 반드시 저게 ground 인지 체크해 보셔야 합니다.

 

3. 저희집의 경우에는 라이트 스위치 중 한군데에 Ground 물려야 하는 곳에 Hot 물려놓고, Hot 물려야 하는곳에 Neutral 물려놓은 곳이 있었어요. 뭐 거꾸로 물린거니 작동은 되긴 하지만 굉장히 위험한 스위치였죠.. 집 사고나서 스위치 교체하다가 발견하고 식겁했습니다 ㄷㄷㄷ

PSBM

2023-07-25 02:07:35

네네, 사진 속 A선의 neutral과 ground를 함께 찍었는데 120v가 나왔다는 이야기였습니다!

hot과 neutral을 찍으면 120v

hot과 ground를 찍어도 120v 나오는 상황이구요..

그런데 neutral선은 정말 neutral로서 그동안 역할을 해오고 있었다는 게 이상합니다..;;

만약 이 흰 선이 다른 phase의 hot wire라면, 그간 neutral 선의 역할을 해왔을 다른 선이 없어요ㅠ

JoshuaR

2023-07-25 00:31:37

그리고 쓰신 글에서 한가지 추가로 궁금한점은.. Hot 에는 120V 가 찍히는데 Neutral 에는 찍히지 않는다는게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보통 전압은 전압차이를 말하는거라서 Hot 과 Neutral 사이의 전압 차이가 120V 일때 전압이 120V 라고 하는 것이어서요..

Voltage meter 의 한쪽 전극을 Hot 에 갖다대고 다른쪽 전극을 Neutral 에 갖다대면 120V 로 나오는 것은 정상입니다.

Voltage meter 의 한쪽 전극을 Hot 에 갖다대더라도 다른쪽 전극을 어디에 연결하지 않으면 0V 로 표기될 수밖에 없고요.

그래서 Hot 에는 120V 가 찍히는데 Neutral 에는 0V 가 찍힌다는게 사실 무슨 말씀이신지 조금 아리송합니다.

 

다만 Voltage meter 의 양쪽 단을 Ground 와 Neutral 로 찍으면 0V 가 나와야 정상입니다.

Ground 와 Neutral 은 결과적으로 동일한 곳에서 선을 따와서 전압차이가 없거든요.

(물론 Ground 와 Neutral 을 혼용해서 쓰시면 큰일납니다..)

우리동네ml대장

2023-07-25 00:40:10

그라운드랑 Neutral 이랑 다른거였군요. 오늘도 하나 배워 갑니다.

https://g.co/bard/share/ad93980319cb

Bard 에게 물어보니 잘 설명 해주네요.

PSBM

2023-07-25 02:10:13

네네 제가 글을 애매하게 적었나봐요.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이 breaker에 물린 1층의 outlet들에서는, neutral과 ground를 찍으면 0V가 나오고,

hot과 ground를 찍으면 120v가 나옵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이 breaker에 물린 지하의 outlet과 light에서는,

neutral과 ground를 찍어도 120v, hot과 ground를 찍어도 120v, hot과 neutral을 찍어도 120v이 나오는 아주 이상한 상황입니다;;;

physi

2023-07-25 00:34:27

neutral은 대부분의 가정집에선 패널쪽에서 그라운드에 연결을 시켜 놓습니다. (bonded neutral)  floating neutral은 비상용 발전기 같은데서나 쓰이는 특수한 경우고요. 그래서 ground와 neutral을 probe 하면 0V가 나와야 정상인데, 120v가 걸리면 합선을 의심해야 하는게 맞습니다. 

 

건들지 않으면 전선은 영원히 가만히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전류가 흐를때 아주 미세하게 진동을 합니다. 

그래서 wire-nut을 쓰거나 할 때엔 꼭 붙이는 전선끼리 잘 꼬와줘야 하는데, 대충 붙여놓고 wire nut만 돌려놓으면 스스로 빠지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피복을 좀 길게 벗기거나 해서 컨덕터 부분이 노출되거나 하면 누전이 될 수 있어요. 

 

DMM 있으시면, 서킷 내리고 아웃랫 뺀 뒤, bare wire로만 continuity test 한번 해보세요. 

hot 과 neutral 은 분리되어 있어야 하고 neutral과 ground가 붙어있어야 합니다.  

hot과 neutral이 붙어있다고 하면 어디에서 얽힌건지 찾아보셔야해요. 

PSBM

2023-07-25 02:18:30

'아주 미세하게 진동을 한다'라는 점을 전혀 몰랐었습니다.

디지털 멀티미터로 HOT과 NEUTRAL 이 두선을 통전테스트 해보라는 말씀이신가요?

만약에 이 두 선이 서로 전기가 통하는 걸로 나오면, 합선확정이라는 뜻이시죠?

physi

2023-07-25 02:39:11

집 전류가 DC가 아닌 AC라, phase가 바뀔때마다 emf가 바뀌어서 그래요. 보통 60hz니 그만큼 미세진동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진간한 DMM이면 continutity test해서 beep하는 기능은 갖춰져 있을거에요. hot과 neutral사이에 continutity가 찾아진다면 어딘가 합선 되어있다는거니 wire path따라 그 부분을 찾아 조치를 취하셔야 하겠습니다. outlet에서 contact 부분 isolation이 잘 안되어 이렇게 될 수도 있으니, outlet도 따로 터미널들을 테스트 해보시고요. 

쭐량

2023-07-25 01:27:08

설명하신대로 합선이 의심되네요. 외부 압력없이도 자연적으로 피복이 노화되고 전선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노화가 진행됩니다. 전기 업체와 케이블 다시 포설 하시게 될 것 같습니다.

PSBM

2023-07-25 02:20:20

제가 예상했던 것 중에 가장 싫은 케이스이네요ㅠㅠ

지하가 피니쉬되어 있는데... 천장을 다 뜯어내게 되겠죠...?ㅠㅠ

쭐량

2023-07-25 10:45:07

불가피한 상황에 처하지 않는한 천장을 굳이 뜯어내진 않을 것 같은데요?

기존 전선관에서 망가진 전선을 빼내고 새로운 전선을 포설하면 됩니다.

hogong

2023-07-25 08:14:45

정확한 답변이 안될거같지만 50연대 지은집인경우 mc conduits 이 되어있을경우가 있을듯하네요 저희집이 딱 그케이스거든요. 정두언이 한 60-70년도에 전기공사를 한번쯤은 했을겁니다. 메인 패널 업글하셨던지. 그런경우는 mc는 인간들에게 와이어 피딩만 하셨을수도 있구요 정말이지 그런집들은 하나하나 미터기 찍어보면서 스위치 내리고 브레이커 뒤죽박죽일경우가 많을듯하네요... 중간에 합선안된게 신기하죠... 날잡으시고 전기스위치 jbox뜯어서 한번 서킷서베이 한번 하시는거 추천드립니다.. 정말 힘든일인데 한번 하고나면 어느 일렉트리션이 와도 저보단 저희집 배송도 아는 사람없을거라 생각됩니다

잔잔하게

2023-07-25 09:44:10

합선 아닌것 같구요

제습기가 3상 모터를 쓰는게 아니었나 싶어요.

그러면 세 라인중 어느 두개를 찍어도 같은 전압이 나와요.

flyhigh

2023-07-25 09:50:11

A선에 연결된 차단기는 투폴인가요? 아니면 싱글인가요? 싱글이면 차단기를 내리고 dmm찍으몬 b 나 c 는 꺼지고 a는 살아있나요? 아니면 같이 꺼지나요?

 

우선은 오래되기도했고 투폴인지 싱글인지 모르니, 전주인나 원래 설치한사람이 전선피복 색을 무시하고 사용했을수도 생각이 드네요, 무슨이유에 천장에 120v 따로 240v 따로 설치했는지 모르지만 그리고 거기에 4wire 안쓰고 3wire 있어서 그냥 썼을수도 있지않을까 생각해봅니다, 240v를 쓸데는 neutral 을 안쓰니까요.

 

 

calypso

2023-07-25 16:01:14

원글님 답변은 아니라서 죄송한데 댓글들 쭈욱 읽어보니 전기 분야 고수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마일모아에서 전기 관련 문제가 자주 언급이 돼서 저도 혹시 모를까 해서 테스터기를 샀는데 공부에 취미가 없어 전혀 사용 못 하고 3년째 창고 어딘가에 묵혀 있습니다.

제가 아는 전기 용어 상식은

핫은 빨강선으로  플러스, 전기 들어오니 만지면 감전사

뉴트럴은 흰 선으로 마이너스, 이선 하나만 만지면 괜찮은데 핫하고 동시에 만지면 감전사

그라운드는 녹색 선으로 합선 방지(?)..

 

이 글 읽고 나서 갑자기 강렬하게 공부하고 싶네요? ㅋ 

공부라야 유튜브 보는 건데...

 

PSBM

2023-07-27 18:46:50

예전에 이랑아빠님께서 올려주신 시리즈(?) 재밌게 본 기억이 있어서, 마모에 능력자분들이 많구나..  하고 저도 조언을 구하고자 글 올렸었네요 ^^

 

우찌모을겨

2023-07-27 18:57:59

핫은 까망도 많습니다..

하지만..색 전적으로 믿지 마세요.

반대로 해놧으면 망입니다.

아날로그

2023-07-27 19:47:51

그러게요. 마모엔 전기 고수님들도 많이 계신것 같아요.

전기는 가급전 안전 안전이 최우선인데요. 한가지 팁이, 만약 전기가 사람 몸으로 흐르면 심장을 통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렉트리션은 왠만하면 전기 손댈때 한속을 엉덩이 쪽으로 뒤에 두고 만집니다. 그럼 만약 감전이 되더라도 양손으로 통하면서 감전사 될 확률이 낮아지니까요.

목록

Page 1 / 204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9900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3103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2702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203326
new 4070

겨울 스페인 남부 11박 일정 조언부탁드려요.

| 질문-여행 10
여행의맛 2024-06-26 196
updated 4069

[업뎃 - 스페인만] 슬슬 다시 시동걸어보는 2025년 포르투갈/스페인 남부 여행 계획짜기

| 질문-여행 22
돈쓰는선비 2024-05-13 2361
updated 4068

부모님 모시고 방콕 여행 가는데 어떤 비행편이 좋을까요?

| 질문-여행 28
Boba 2024-06-24 1200
  4067

워싱턴 (시애틀 or 벨뷰?) 여행플랜 조언을 받고 싶습니다. (7월 4일 - 7월 7일)

| 질문-여행 35
FBI 2024-06-14 2419
  4066

San Diego/Vista로 여행 - 갈만한곳 추천

| 질문-여행 16
렛츠고 2024-06-24 983
  4065

일본 여행, ESIM 구매해보신 분 있으실까요?

| 질문-여행 18
언젠가세계여행 2024-01-19 1971
  4064

유럽 ATM 에서 현금을 뽑았는데 환율이 이상해요

| 질문-여행 18
delight 2024-06-24 1770
  4063

캔쿤에서 reef safe sun cream 검사하나요?

| 질문-여행 6
kkamigo 2024-06-21 1143
  4062

5박6일 첫 하와이 여행: 와이키키 주변에서 5일? 아니면 다른섬 관광 추가?

| 질문-여행 25
내인생 2024-02-27 2264
  4061

일본출발 크루즈 MSC 벨리시마 vs 다이아몬드 프린세스 가본신 분 계실까요?

| 질문-여행 9
아카스리 2024-06-02 1037
  4060

TSA PreCheck now through CLEAR

| 질문-여행 2
  • file
장미와샴페인 2024-06-19 2364
  4059

포틀랜드 다운타운 6개월 아기와 여행 괜찮을까요? 호텔 추천도 부탁드려요.

| 질문-여행 8
캐리살자 2024-06-20 614
  4058

부모님이 놀러오셨을 때 6월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동부 출발)

| 질문-여행 20
보바 2024-06-15 1847
  4057

렌트카 빌린 곳 말고 다른 곳에서 리턴하면 추가 Drop fee가 있나요?

| 질문-여행 18
쌤킴 2024-06-16 2140
  4056

올인클루시브, UR 포인트를 Hyatt로 옮기지 말고 그냥 Chase Travel 에서 예약하면 많이 손해일까요?

| 질문-여행 13
업비트 2024-06-05 2230
  4055

플로리다에서 스노클링 괜찮은가요?

| 질문-여행 8
신신 2024-06-16 1395
  4054

Blue Cross Blue Shields 보험으로 한국가서 진료 받으려고 하는데요...

| 질문-여행 22
Teazen 2023-02-24 6434
  4053

스페인 세도시, 포르투, 암스테르담 일정 좀 봐주세요

| 질문-여행 10
Blackbear 2024-06-17 578
  4052

[급] 이중국적자-미국여권 만료// 한국으로 이번 수요일 출국예정

| 질문-여행 6
에코 2024-06-17 814
  4051

내슈빌 + 스모키 마운틴 8월초 일정 조언 부탁드립니다.

| 질문-여행 15
성게 2024-06-14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