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글

MileMoa

검색
×

마일모아 게시판   [정보-은퇴]
[은퇴 시리즈] 토막글 - 조기은퇴후 Gross Income 미니차트

개골개골 | 2024.06.24 17:16:36 | 본문 건너뛰기 | 댓글 건너뛰기 쓰기

최근에 올린 글 [은퇴 시리즈] 나는 어림짐작은 딱 질색이니까 (은퇴후 포트폴리오?) 에서 @쌤킴 님의 댓글에 답을 달다가 조기 은퇴 후 Gross Income에 따라서 어떻게 가처분소득이 변하는지 쉽게 그래프로 보여드릴 수 있으면 더 쉽겠다는 생각이 언뜻 들었는데요.

 

이 부분은 가정도 워낙 많이 들어가는 부분이라서 일반적인 모델링은 매우 쉽지 않아서 이전 포스트에서는 깊게 안건드리긴했는데요. 예전부터 자주 "왜 개골님은 그렇게 income을 낮게 유지하려고 하세요"라는 질문을 받아서요. 오전에 짧게 한 번 끄적거려 봤습니다.

 

Screenshot 2024-06-24 161037.png

** 위 그래프는 예시일 뿐입니다. 개인마다 다 사정이 다릅니다 **

** 자산 규모와 상관 없이 단지 income이 낮다는 이유로 혜택을 받는 것은, 이미 있는 제도 내에서 최적화를 하는 행동이므로, 관련 법에 대한 토론은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

 

Screenshot 2024-06-24 104334.png

 

저의 경우 3인 가정이고 

 

Obama Care 의료비의 경우 FPL 138% 이하일 경우 메디케이드라서 의료비 (덴탈/비전 포함)가 전혀 들지 않고, 인컴이 올라갈 수록 [은퇴 시리즈] 조기 은퇴자의 건강보험 가입 글에서 설명한 것 처럼 총 의료비 지출액이 커지게 됩니다. 저의 경우 병원도 자주가고 약도 많이 먹는 편이라 max-out-of-pocket의 50%을 의료비로 쓴다고 가정했습니다. 오바마케어 및 오바마케어 메디케이드 익스텐션은 순수하게 가정의 gross income만을 이용해서 계산합니다.

 

LEAP 에너지 보조는 연방정부 프로그램이지만 주에서 운영하는거라 살고 있는 주마다 다르지만 대략 FPL 200%~250% 이내의 가정의 경우 가스비 등을 보조해줍니다. 역시나 gross income만을 이용해서 계산합니다.

 

FAFSA 계산해서 나오는 Pell Grant의 경우 [은퇴 시리즈] 아이의 파이낸스 (feat. 땡큐! 콜로라도) 에서 소개한 것 처럼 FPL 175% 이하일 경우, 부모의 자산을 무시하고, gross income만으로 eligibility를 계산합니다.

 

Tax의 경우 Federal Tax는 Long-term Capital Gain이나 Qualified Dividend 등을 잘 이용하면 Gross Income $100,000 언저리까지 쉽게 tax rate 0%로 인출 가능하므로 연방세금은 $0으로 생각하고, 제가 사는 콜로라도의 State Tax로 계산했습니다.

 

사실 글에서 적기 귀찮아서 안적은 수많은 저소득층 혜택이 있습니다. (예를들면 콜로라도에서는 LEAP를 받을 정도의 저소득이면 전기차 구매시 $5,500을 더 깎아줍니다. Federal ($7,500) + State (7,500 // MSRP 35k 이하의 차량) + 유틸리티 ($5,500) 해서 총 $20,500 싸게 살 수 있어요. 그리고 진짜 진짜로 원하면 소위 말하는 푸드스탬프 (SNAP)도 받을 수 있구요.) 각 종 혜택을 받고 안받고는 개인의 재량이므로 그냥 대표적인 것만 한 두개 추렸습니다.

 

---------------------------------------

 

그래프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FPL 138%이하인 $34,000 언저리까지는 선형적으로 가처분소득이 늘어나다가 각종 베네핏의 phase-out 때문에 gross income이 늘어도 가처분 소득은 줄어들다가 gross income이 $56,000 정도 되어서야 겨우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게 되는거죠. 가족마다 환경은 다 다르겠지만, 최소한 개골개골 가족의 경우에는 $34,000 인컴이나 $56,000 인컴이나 수중에 들어오는 캐쉬는 동일하다는 것이고. 이럴바에야 아예 $34,000 정도로 유지하던지. 아니면 아예 크게 땡겨서 $100,000 언저리까지 gross income을 늘려야지 그 중간은 뭔가 이도저도 아닌 애매한 그런 상황이 되어버리더라구요.

 

대략 이런 생각의 흐름으로 저희 현재 income level을 설정한 것이구요.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모든 가정의 환경이 다 다르므로 섣불리 일반화하시면 곤란합니다 ^^

 

 

첨부 [2]

댓글 [7]

목록 스크랩

마일모아 게시판 [24,235] 분류

쓰기
1 / 1212
마일모아 사이트 맞춤 구글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