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eMoa
Search
×

연방항소법원, 만장일치로 행정명령 재시행 거부

마일모아, 2017-02-09 13:44:05

조회 수
3078
추천 수
0

다들 뉴스 보셨으리라 생각합니다. 


http://news.donga.com/home/3/all/20170210/82802885/1


전 개인적으로 이번 판결문에서 1965년 판례를 인용한 부분이 참 멋지더라구요. 


http://cdn.ca9.uscourts.gov/datastore/opinions/2017/02/09/17-35105.pdf


(“‘[N]ational defense’ cannot be deemed an end in itself, justifying any exercise of legislative power designed to promote such a goal. . . . It would indeed be ironic if, in the name of national defense, we would sanction the subversion of one of those liberties . . . which makes the defense of the Nation worthwhile.”); Zemel v. Rusk, 381 U.S. 1, 17 (1965) (“[S]imply because a statute deals with foreign relations [does not mean that] it can grant the Executive totally unrestricted freedom of choice.”).


위키 찾아보니 원문은 이렇게 나오네요. 


This concept of "national defense" cannot be deemed an end in itself, justifying any exercise of legislative power designed to promote such a goal. Implicit in the term "national defense" is the notion of defending those values and ideals which set this Nation apart. For almost two centuries, our country has taken singular pride in the democratic ideals enshrined in its Constitution, and the most cherished of those ideals have found expression in the First Amendment. It would indeed be ironic if, in the name of national defense, we would sanction the subversion of one of those liberties — the freedom of association — which make the defense of our nation worthwhile.


"국방이라고 하는 것은 헌법이 보장하는 민주적 가치와 이상을 수호하는 것이 그 존재 이유 중의 하나인데, 국방 (= 안보, anti-terrorism) 이라는 이름으로 자유를 제한하는 것은 그 자체가 모순이다" 라고 간략히 번역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 댓글

AJ

2017-02-09 13:45:57

우오 Like

이슬꿈

2017-02-09 13:52:22

진짜 명문이네요. 한국에 그대로 갖다 놓고 싶은 문장이에요.

차도남

2017-02-10 05:53:30

안보를 추가하신거 봐서는 왠지 마모님도 거기에 초점을 두고 요약 번역하신 것 같은데요.. 

Passion

2017-02-09 13:52:48

난세에 간웅이 나타난다는 말 처럼

세상이 정신 없으니 주옥같은 명언들이 곳곳에서 나오네요.

armian98

2017-02-09 13:58:54

요즘 트럼프덕분에 (트럼프가 비난하라고 했던) 미국 법 시스템에 대해 조금이나마 찾아보고 배우네요.

wolverine

2017-02-09 14:07:55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도 평등이라는 가치를 수호하는 판결을 기대합니다

최선

2017-02-09 14:17:20

역시!!! 이렇게 다르군요. 철저하게 견제가 가능하기에 ~~

awkmaster

2017-02-09 14:54:55

참 명문입니다. 연방법원이 정말 법원다운 판결을 했군요.


그런데 생각해 보면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민주주의를 파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람이 대통령 자리에 있을때 국민들은 민주주의에 대해 더 많은 것을 배우는 것 같네요. 이건 지난 9년을 겪은 우리나라에서도 똑같은 현상이지요. 정치에 관심을 갖고 진정한 민주주의의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배우게 되는 것. 시행착오로 다시는 잘못된 지도자를 뽑으면 안되는데, 국민의 정부 참여 정부를 거치면서 공기의 소중함을 모르듯 민주사회의 소중함을 잊어버리게 되었던게 아닐까요? 이렇게 보면 민주주의가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가장 발전된 형태의 사회시스템이 맞는가에 대한 의문도 들게 되고요... 한국과 미국이 오묘하게 위기와 격동의 시대를 동시에 겪게 되네요.

edta450

2017-02-09 15:08:45

이게 9지역 항소법원은 진보성향이라 많이들 판결을 이렇게 예상한것 같은데, 상급심에서 가부동수가 나오면 하급심 판결을 따라가게 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4:4인 연방대법관 추가 인준이 상원에 계류중인 상태에서는 거의 뒤집히지 않을거라고들..

cfranck

2017-02-09 15:24:23

뒤집어 말하면 연방 대법관이 인준을 통과하면 거의 뒤집힐거라고 봐야 하는걸려나요. 그러니까 법무부에서 인준부터 통과시키고 대법원에 항소하게 된다면 말입니다.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edta450

2017-02-10 01:13:04

그러게요. 근데 타이밍 문제이기도 하고, 이게 현재 트럼프가 사법부의 권위를 무시하는 스탠스를 잡고 있기 때문에 보수성향 법관들도 호락호락 정부 편을 들지는 않을거라는 관측도 있더라고요. 

cfranck

2017-02-10 02:32:50

네 사법부의 권위 무시도 문제고, 행정조치들이 법률/헌법에 부합하지 않는것도 문제일테고요.

첨예하게 법리를 다퉈야 할 애매한 사안도 아니고 불합치가 너무 분명하고 명백해보여서 말입니다.

달또

2017-02-10 01:08:20

멋지네요. 선진국은 역시 경제 능력으로만 이루어지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새삼 깨닫습니다 ^^ 

두리뭉실

2017-02-10 02:34:06

국방과 자유는 참...언제나 시비가 일어나는 부분이죠... 무슨 또 안 좋은 사건이 하나 터진다면 아마도 또 물고 늘어질겁니다~

JM

2017-02-10 03:26:38

어제 이 글을 보고 아침 출근하면서 관련 뉴스를 들으면서 생각을 좀 해봤습니다. 

미국의 대통령이 낸 법안을 법원에서 거부한다는게 그래도 아직 미국이란 나라는 자유는 존재하구나...

근래에 많은 일이 일어나는 한국과 비교하였을때 대통령이 되어 나라의 모든 것을 좌지 우지 할 수 있고, 그와 더불어 경제/법쪽에서도 그게 옳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묵인하고 승인하는 것이... 우리나라는 아직 많이 멀었다는 생각에 조금 씁쓸했네요....



LegallyNomad

2017-02-10 04:05:44

사법부의 권위와 신뢰가 존재하는한 트럼프의 또라이짓은 그나마 막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Ivanca Trump collection을 뺀 Nordstrom에 대해 백악관은 왜 소송을 안하는지 모르겠네요 ㅋㅋㅋ


판결문은 Law Clerk이 쓰고 판사님은 거기서 수정할것하고 했겠지만 명문이네요 정말. 

어제 재판이 있어서 El Paso, TX에 출장 갔었는데, 막상 국경지대에 가서보니 거기다 장벽을 쌓겠다는 생각은 다시한번 또라이같고 "ridiculous" 하다는 생각을 다시한번 하고왔어요. 

노틸러스

2017-02-10 05:47:26

This is what makes America great!

간큰고등어

2017-02-11 00:55:12

좀전에 네이버에서 본 기산데 현 반이민법 행정명령을 상고하는대신 새로운 행정명령을 감토하고있고 벌써 남부 주요도시에서 불체자 수백명이 구금 됐다는 기사네요 이러다 기네스북에 오르겠네요

http://m.news.naver.com/hotissue/read.nhn?sid1=104&cid=1035322&iid=1173349&oid=008&aid=0003820564

그리고 호주 브리즈번을 출발해 하와이를 거쳐 뉴욕으로 갈려던 한국사람이 하와이에서 입국거부 당했단 기산데 기사에 입국거부이유는 안나왔지만 세상이 좀 많이 어수선해질꺼 같네요.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421&aid=0002555330&sid1=104&date=20170211&ntype=MEMORANKING

무지렁이

2017-02-11 01:06:47

아이고, 이걸 이제야 봤네요. 반가운 소식이네요.

오하이오

2017-02-12 07:58:41

간략한 번역본, 정말 마음에 듭니다. 퍼가서 인용하고 싶은 충동이 이네요.

정렬

정렬대상
정렬방법
취소

목록

Page 1 / 3851
Statu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마적단의 기초 | 검색하기 + 질문 글 작성하기

| 정보 33
  • file
ReitnorF 2023-07-16 39932
  공지

게시판의 암묵적인 규칙들 (신규 회원 필독 요망)

| 필독 110
bn 2022-10-30 63134
  공지

리퍼럴 글은 사전동의 필요함 / 50불+ 리퍼럴 링크는 회원정보란으로

| 운영자공지 19
마일모아 2021-02-14 82729
  공지

게시판 필독 및 각종 카드/호텔/항공/은퇴/기타 정보 모음 (Updated on 2024-01-01)

| 정보 180
ReitnorF 2020-06-25 203379
  115509

하루 정도 쉬어갈께요

| 잡담 7
마일모아 2014-03-03 6510
  115508

자동차 딜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필독 87
티모 2013-09-25 12270
  115507

마일모아 여행기 지도 = "알미안 지도" - www.milemoa.com/map

| 정보-여행 194
  • file
armian98 2013-06-14 58898
  115506

인어사냥님을 위한 변

| 잡담 87
히든고수 2014-04-22 6286
  115505

신용 기록 관리

| 정보-기타 53
2n2y 2013-04-25 17920
  115504

호텔 브랜드 신용 카드 비교 및 포인트 분석

| 정보 114
2n2y 2012-08-28 23257
  115503

(잡담) 지금은 관심을 갇힌 사람들에게..

| 후기 17
julie 2014-04-18 2776
  115502

(초보자용) 가늘고 길게 는 과연 무슨뜻인가 ?

| 정보-카드 61
티모 2013-10-29 10218
  115501

자동차 딜러에 대한 편견과 진실 (딜러에서 일해요)

| 필독 139
티모 2013-09-23 33819
  115500

침묵의 시간...

| 잡담 4
ThinkG 2014-04-17 2386
  115499

자동차 리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 정보-기타 63
티모 2013-10-25 53291
  115498

이번 일을 보면서 느끼는 것들

| 잡담 1
티모 2014-04-19 1965
  115497

.

| 정보-기타 74
쟈니 2013-12-09 31717
  115496

Award Alert에 대해~~~ (업데이트... 유료 서비스 TPAC 가능합니다)

| 정보-항공 67
  • file
Moey 2013-11-13 4088
  115495

Alaska Air 에 대한 조사 결과 0.30 (12/30 업데이트)

| 정보-항공 115
  • file
티모 2013-11-12 25617
  115494

[초보자용] 새싹님들을 위한 렌트카 빌리기 A to Z

| 필독 61
  • file
papagoose 2012-11-22 40630
  115493

[잡담] 국정원 대선개입 축소수사 지시한 김용판 무죄

| 잡담 44
쿨대디 2014-02-06 3137
  115492

AirChina 마일리지 소개 및 장단점

| 정보-항공 19
재깡이 2013-10-07 6148
  115491

(업뎃: AMEX 연회비 부분환불 정책 변경) [새싹용] 연회비가 나왔을 때 알고 있으면 좋은 기초 정보 및 팁

| 정보-카드 108
봉다루 2014-03-25 26245
  115490

[업데이트] UR, MR, SPG, 항공 마일 등의 가치를 비교할 수 있을까?

| 정보-카드 93
papagoose 2014-01-07 5591
  115489

스타 얼라이언스로 유럽스탑오버+한국갈때 좋은 항공사들 (180도 풀 플랫 비지니스)

| 정보-항공 82
  • file
offtheglass 2013-10-08 24125
  115488

카드 회사들도 슬슬 대안을 찾고 있나 봅니다.

| 잡담 32
배우다 2013-03-29 3882
  115487

마일 전환 차트 (06.03.20): scratch님 + 후지어님 감사드려요

| 필독 251
  • file
마일모아 2012-02-09 253252
  115486

Southwest Airlines (싸웨) 길라잡이

| 정보-항공 108
  • file
봉다루 2014-02-27 28445
  115485

남미대장정

| 후기-발권-예약 314
  • file
김미형 2013-11-06 11565
  115484

새로운 세상을 보았습니다. - 2 (암흑편)

| 필독 75
요정애인 2013-07-27 26115
  115483

SPG BRG 하는법 외 팁 조금...

| 정보-호텔 57
기돌 2013-05-15 18269
  115482

2013년도 작년 딜: AMEX Plat MR 100K offer-Spending $3000 in 3 months

| 정보-카드 934
  • file
마오방 2013-01-07 14896
  115481

저 갑자기 엑스맨 된 거죠?

| 잡담 91
사리 2012-05-24 2879
  115480

초보분들 카드 신청시 고려하실부분과 첨언들...

23
ThinkG 2012-01-24 6912